반응형
챗봇, 요약기, 생성기까지 직접 만드는 방법
🧠 들어가며 – AI를 앱에 넣는 방법, 어렵지 않다
이제 많은 사람들이 앱 안에 AI 기능을 넣고 싶어 한다.
단순한 폼이 아니라,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챗봇,
문장을 요약해주는 기능, 자동 문장 생성기 같은 것들.
하지만 “API”, “JSON”, “HTTP 요청” 같은 단어만 들어도
왠지 복잡하고 어려울 것 같은 느낌이 든다.
그러나 걱정할 필요 없다.
노코드 플랫폼과 GPT API를 연동하면
비개발자도 AI 기능을 앱에 삽입할 수 있는 환경이 이미 충분히 갖춰져 있다.
🔧 GPT API란? 그리고 왜 필요한가?
GPT API는 OpenAI에서 제공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모델을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다.
앱 내부에서 사용자 입력을 받아
→ OpenAI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
→ 응답을 받아 앱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.
기능적으로는 다음과 같다:
- 질문 응답 / 요약 / 번역 / 생성 등 다양한 작업 가능
- 파라미터로 모델 선택(GPT-3.5, 4), 맥락(프롬프트), 길이 제한 설정
- 사용량 기반 과금 (월 수천 원 수준으로도 운영 가능)
🧩 노코드 앱에서 API 연동하는 방법 (예: Bubble 기준)
1. API 키 발급
- OpenAI 홈페이지에서 API 키 생성
- 사용자는 개인 대시보드에서 실시간 사용량 확인 가능
2. API 연결 구성 (플러그인 or API 커넥터 사용)
- API 요청 URL
(※ 아래 주소는 브라우저가 아닌, 노코드 툴이나 백엔드 설정에 입력해야 함) - 헤더:
- Authorization: Bearer YOUR_API_KEY
- Content-Type: application/json
- 요청 본문(JSON):
{
"model": "gpt-3.5-turbo",
"messages": [
{
"role": "user",
"content": "이 문장을 요약해줘"
}
]
}
3. 앱 내 워크플로우 설정
- 사용자 입력값 → API 요청
- 응답받은 텍스트 → 텍스트박스에 자동 출력
- 조건부 로딩, 실패 알림, 리셋 기능까지 포함 가능
🤖 실전 활용 예시
- 챗봇 앱: 고객 질문에 GPT가 실시간 답변
- 요약기 앱: 뉴스, 보고서, 글을 자동 요약
- AI 글 생성기: 키워드 입력 → 블로그 글 초안 출력
- 문장 추천기: SNS 문구, 광고 문구 추천 기능
- AI 기반 검색 도우미: 검색 키워드 확장 기능
✅ 결론 – 비개발자도 AI 앱을 만들 수 있는 시대
GPT API는 더 이상 개발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.
노코드 툴과의 결합은
AI 앱의 진입 장벽을 확실히 낮췄다.
처음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
한 번 연동해 보면 “이게 끝인가?” 싶을 정도로 단순하다.
이제 당신의 앱에도
AI가 자연스럽게 들어갈 차례다.
📌 다음 예고 주제:
Replit Ghostwriter로 자연어 기반 앱 개발 자동화 테스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