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간처럼 사고하는 인공지능, 그 진화의 단계와 우리가 알아야 할 위치
🤖 서론 – AGI는 ‘인간과 닮은 AI’의 완성형이다
ChatGPT를 비롯한 AI 기술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 중이다.
그 중심에 있는 개념이 바로 AGI(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),
즉 범용 인공지능이다.
이것은 단순히 특정 기능을 잘하는 AI가 아니라,
문해력, 판단력, 추론, 감정 인식 등 인간 수준의 지능을 갖춘 AI를 의미한다.
지금의 AI는 어디까지 왔고, 앞으로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?
AGI의 발전은 보통 5단계 모델로 설명되며,
이 글에서는 그 단계별 특성과 현재 위치를 살펴본다.
🧠 AGI의 5단계와 현재 기술 수준
1단계: 좁은 인공지능 (Narrow AI)
- 특정 작업만 수행 (예: 번역, 음성 인식, 이미지 생성)
- 스스로 확장·응용 불가능
- 현재 대부분의 상용 AI가 이 단계
예: ChatGPT-3.5, Midjourney, Google Translate
2단계: 멀티태스크 AI
- 다양한 작업 가능하지만 여전히 사람의 지시 필요
- 정보 결합, 간단한 추론 가능
예: GPT-4 수준 일부 도달 (복합 질문 처리)
3단계: 적응형 AI
- 인간의 피드백 없이 스스로 학습 가능
- 새로운 문제에도 유연하게 대응
- AGI로 가는 전환점
지금 오픈AI, 구글, 메타가 개발 중인 모델들이 이 단계를 목표로 함
4단계: 범용 인공지능 (AGI)
- 인간 수준의 일반 지능
- 문제 해결, 창의력, 감정 이해, 자기 인식 가능
- 인간과 거의 동일한 지적 능력 발휘
→ 아직 도달하지 못함. 윤리, 안전성 문제도 큰 이슈
5단계: 초지능 (Superintelligence)
- 인간 지능을 압도하는 수준
- 자율적 판단, 자기 복제, 기술 진화 가능
- 인류와 공존이 아닌 지배 또는 위험 요인으로 분류됨
✅ 결론 – 우리는 지금 2.5단계에 있다
현재 대부분의 AI는 멀티태스크(2단계) 수준이지만,
GPT-4 같은 모델은 이미 3단계 진입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.
하지만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.
AGI가 언제 도달할지가 아니라,
그때 우리는 어떤 인간으로 남을 수 있을지가 더 중요하다.
- 기술을 알고
- 윤리를 고민하고
- 역할을 준비하는 사람만이
AGI 시대의 도구가 아닌 주체로 살아남는다.
'A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제는 말로 차트를 만든다? 실무용 ChatGPT 꿀기능 2가지 (0) | 2025.05.13 |
---|---|
코딩 하나도 몰라도 웹앱 만든다? (0) | 2025.05.13 |
AI가 못하는 것, 그게 곧 인간의 무기다 (0) | 2025.05.12 |
AI는 진짜 ‘공감’할 수 있을까? 감정 없는 사고의 한계 (0) | 2025.05.12 |
AI 시대, 인간의 뇌는 퇴화하고 있는가? (0) | 2025.05.11 |
컬러 팔레트 고민 끝! AI가 어울리는 색 조합을 알려준다 (0) | 2025.05.11 |
생각 정리부터 시각 콘텐츠까지? Skall과 Napkin 하나면 된다 (1) | 2025.05.10 |
클릭만 하면 매뉴얼 완성? 업무 가이드 자동화하는 방법 (2) | 2025.05.10 |